MY MENU

논문 작성 요령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소는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의 선진적인 지역연구 성과를 수용 및 발전시키려는 차원에서 해외학자 초청 특강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왔다. 2010년 3월부터는 학자들은 물론 각계 전문가들로 연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그 명칭을 해외명사 초청 강연회로 변경했다.

I. 본문 작성 요령

1. 분량
편집본 기준 25매(외국어 요약문 포함) 내외. 서평의 경우 A4 3매 내외.

2. 본문 언어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

3. 편집양식

  1. 1) 아래한글 바탕글 형식 유지
  2. 2) 논문구성
    1. ① 논문제목, 저자이름, 목차,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 저자정보 순으로 한다.
    2. ② 본문(서론-본론-결론) 대제목(대항목)은 본문 위로 두 줄, 아래로 한 줄을 떼고, 중제목과 소제목은 본문 위아래로 한 줄씩 띄운다.
    3. ③ 연구비 수혜사실은 논문제목 옆에 *를 표시하고, 수혜 내용은 각주로 처리한다.
    4. ④ 저자의 소속과 직위는 저자 이름 옆에 *를 표시하고 각주로 처리한다. 2인 이상의 저자가 집필한 논문의 경우 모든 저자의 소속과 직위를 명시하여야 한다.
    5. ⑤ 초중등학교 소속 학생 저자인 경우 소속 학교와 ‘학생’임을 명시하여야 하며, 소속이 없는 미성년자의 경우 최종 소속, 직위, 재학년도를 명시하여야 한다.
    6. ⑥ 2인 이상의 저자가 집필한 경우 제1저자(책임연구자)를 제일 앞에 기재하고, 교신저자를 마지막에 기재한다. 이름 옆에 * 표시하고 각주 처리한 소속, 직위 등의 정보 뒤 괄호 안에 제1저자, 교신저자 등의 관계를 명시한다.
  3. 3) 인용문: 인용문은 본문과 위아래로 한 줄 띄우고, 원전은 본문이나 각주에 제시한다.
  4. 4) 주요번호:
    대항목: I., II., III.,...
    중항목: 1., 2., 3.,...
    소항목: 1), 2), 3)...
    저서․단행본 제목: 『 』
    (학술)잡지․신문 제목: 「 」
    논문 제목: “ ”
    작품 제목: 『 』
    직접 인용: “ ”
    강조, 간접 인용: ‘ ’
  5. 5) 외국어 및 외래어 한글 표기는 국립국어원 표준안에 따라 표기한다.
  6. 6) 외국어 인명이나 지명 또는 의미의 혼동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단어나 용어는 최초 1회에 한해 괄호 안에 해당 외국어나 한자의 병기를 허용한다.
  7. 7) 외국 저서나 단행본, 작품 제목, 저널이나 신문 제목의 표기는 해당하는 기호 안에 한글 제목을 사용하고 그 옆에 괄호로 해당 외국어, 영어, 한자를 부기한다.
    예) 『파우스트』(Faust)
  8. 8) 도표: 도표 상단 가운데에 [표 1], [표 2] 등의 순으로 표기하며, 필요에 따라 도표의 제목을 덧붙이고, 그 출처는 각주로 처리한다.
  9. 9) 그림: 그림 상단 가운데에 [그림 1], [그림 2] 등의 순으로 표기하며, 필요에 따라 그림의 제목을 덧붙이고, 그 출처는 각주로 처리한다.

4. 국문 및 영문 초록

  1. ① 본문 작성 언어에 상관없이 모든 논문에는 국문 초록과 영문 초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2. ② 국문 초록(400 단어 내외)은 논문 저자이름과 서론 대제목(대항목) 사이에 위치한다.
  3. ③ 영문 초록(200 단어 내외)은 논문 끝부분에 제목, 영문 저자명, 본문 순으로 작성한다.

5. 5개의 한글 및 영어 표기 핵심어(key words)는 논문 제목 위에 위치한다.

Ⅱ. 각주 작성 요령

1. 국내문헌 및 동양 문헌

  1. ① 단행본인 경우
    • 저자 (편), 『도서명』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p. 페이지 번호.
    • 김진영, 『시베리아 향수』 (서울: 이숲, 2017), p. 12.
    • 홍완석 편, 『현대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서울: 한울, 2005), pp. 34-38.
    • 장실, 『이콘과 문학』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0), pp. 12-23.
    • 장덕준 외, 『푸틴 4.0』 (서울: 한울, 2018), p. 5.
  2. ② 학술논문인 경우(학위논문 포함)
    • 저자, “논문제목,”『학술지명』 (출판년도), p. 페이지 번호.
    • 한정숙, “쑨원의 러시아 10월혁명 인식과 국민당 개조,” 강덕수·한정숙·송준서 편, 『세계사 속의 러시아혁명』 (서울: 한울, 2019), p. 145.
    • 이지연, “Discourse, Figure: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론과 몽타주,” 『슬라브硏究』, 제35권, 제3호 (2019), pp. 133-137.
    • 조계수·정연내, “한국 문화 ODA 실행전략 연구: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 제23권, 제3호 (2019), pp. 40-41.
    • 홍상우, “바실리 숙쉰의 주인공 형상 연구: 초기 중단편과 『붉은 나무 딸기(Калина красная)』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p. 150.
  3. ③ 앞에 나온 책과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앞에 인용한 책(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김진영, op. cit., p. 34.
    바로 위에서 인용한 책(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Ibid., pp. 34-56.
  4. ④ 번역된 책을 인용할 경우
    • 저자 (편), 도서명(이탤릭체), 역자, 『도서명』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p. 페이지번호.
    • David Gillespie, Russian Cinia, 라승도 역, 『러시아 영화: 문화적 기억과 미학적 전통』 (서울: 그린비, 2015), p. 56. ⇒ 원저와 도서명이 다를 경우
    • 알렉세이 유르착,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김수환 옮김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9), p. 34. ⇒ 원저와 도서명이 동일한 경우
  5. ⑤ 다른 저서나 문헌에서 재인용할 경우: 위 양식에서 마지막 페이지 다음에 재인용 표기함

2. 외국문헌 (러시아어 제외)

  1. ① 단행본인 경우
    • 저자 (편), 도서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p. 페이지 번호.
    • L. Stern, Western Intellectuals and the Soviet Union, 1920-40: From Red Square to the Left Bank (London: Routledge, 2007), p. 45.
    • Birgit Beumers (ed.), A Companion to Russian Cinia (Malden, MA: John Wiley & Sons, Inc., 2016), pp. 34-45.
  2. ② 학술논문인 경우
    • 저자, “논문제목,” In 저자 (편자), 도서명(이탤릭체) (출판지:출판사,출판년도), p. 페이지 번호.
    • Lilya Kaganovsky, “Moscow Does Not Believes in Tears,” In Rimgaila Salys (ed.), The Russian Cinia Reade. Volume Two: The Thaw to the Present (Boston: Acadiic Studies Press, 2013), pp. 174-189.
    • Mollie Arbuthnot, “The People and the Poster: Theorizing the Soviet Viewer, 1920-1931,” Slavic Review, Vol. 79, No. 3 (Fall 2019), pp. 717-737.
  3. ③ 앞에 나온 책과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 앞에 인용한 책(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Beumers, op. cit., p. 34.
    • 바로 위에서 인용한 책(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Ibid., pp. 34-56.
  4. ④ 다른 저서나 문헌에서 재인용할 경우: 위 양식과 동일하되 마지막 페이지 다음에 재인용 표기함.

3. 러시아어 문헌

  1. ① 단행본인 경우
    • 저자, 도서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с. 페이지 번호.
    • А. Зорин, Жизнь Льва Толстого Опыт прочтения (М.: Нов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обозрение, 2019), с. 175.
  2. ② 학술논문인 경우
    • 저자, “논문제목,” 저자 (편자), 도서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с. 페이지 번호.
    • Л.В. Дмитриева, “Природ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Сибири,” Л.В. Дмитриева (ред.), Культура Сибир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Петрополис, 2013), с. 240-241.
    • Г. Булычев, “Корейская политика России: попытка схематизации,” Проблемы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No. 2 (2000), с. 43-45.

4. 기타 자료

  1. ① 인터뷰, 녹취록: Alfred, Wayne. “Russia and Diocracy.” 인터뷰/녹취록. 작성자: 홍길동 (2003.12. 14)
  2. ② 미출간 텍스트: 저자명. “미출간 텍스트 제목.” 발행기관(발행기관이 없는 경우는 <미출간 논문/보고서> 등으로 명기한다.), 출간년도.
  3. ③ 신문: “차르의 귀환.” 「중앙일보」, 2012년 3월 6일. “Putin's New Constraints.” The New York Times, Mar. 13, 2012.
  4. ④ 인터넷: Nikolai Petrov, “Putin Won't Liberalize Anything,” http://www.thioscowtimes.com/opinion/article/putin-wont-liberalize-anything/455025.html (검색일: 2011.11.15).

Ⅲ. 참고문헌 작성 요령

참고문헌은 한국어 문헌, 영어 문헌, 러시아 문헌의 순으로 작성한다.

1. 국내문헌

  • 김진영. 『시베리아 향수』. 서울: 이숲, 2017.
  • 홍완석 편. 『현대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서울: 한울, 2005.
  • 한정숙. “쑨원의 러시아 10월혁명 인식과 국민당 개조.” 강덕수·한정숙·송준서 편. 『세계사 속의 러시아혁명』. 서울: 한울, 2019.
  • 이지연. “Discourse, Figure: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론과 몽타주.” 『슬라브연구』, 제35권, 제3호. 2019.
  • 홍상우. “바실리 숙쉰의 주인공 형상 연구: 초기 중단편과 『붉은 나무 딸기(Калина красная)』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유르착, 알렉세이.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김수환 옮김.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9

2. 서양문헌 (러시아어 포함)

  • Stern, L. Western Intellectuals and the Soviet Union, 1920-40: From Red Square to the Left Bank. London: Routledge, 2007.
  • Beumers, Birgit (ed.). A Companion to Russian Cinia. Malden, MA: John Wiley & Sons, Inc., 2016.
  • Bourdeaux, Michael. “Reform and Schism.” Problis of Communism, Vol. 16, No. 45 (Septiber-October 1967).
  • Arbuthnot, Mollie. “The People and the Poster: Theorizing the Soviet Viewer, 1920-1931.” Slavic Review, Vol. 79, No. 3 (Fall 2019).
  • А. Зорин. Жизнь Льва Толстого Опыт прочтения. М.: Нов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обозрение, 2019.
  • Булычев, Г. “Корейская политика России: попытка схематизации,” Проблемы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No. 2 (2000).

3. 기타자료 (인터뷰/녹취록, 미출간 텍스트, 인터넷)

  1. ① 인터뷰, 녹취록: Alfred, Wayne. “Russia and Diocracy.” 인터뷰/녹취록. 작성자: 홍길동 (2003.12.14)
  2. ② 미출간 텍스트: 저자명. “미출간 텍스트 제목.” 발행기관(발행기관이 없는 경우는 <미출간 논문/보고서> 등으로 명기한다.), 출간년도.
  3. ③ 신문: “차르의 귀환.” 「중앙일보」, 2012년 3월 6일. “Putin's New Constraints.” The New York Times, Mar. 13, 2012.
  4. ④ 인터넷: Nikolai Petrov. “Putin Won't Liberalize Anything.” http://www. thioscowtimes.com/opinion/article/putin-wont-liberalize-anything/455025.html(검색일: 2011.11.15).Hasanova, M. “Tajik Parliament Passes Budget for 2008.” Asia-Plus, 2 Noviber 2007. www.asiaplus.tj/en/news/49/24332.html (검색일: 2011.11.15).